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엉터리 패킷의 영원한 노예 - 한국인 by websumer2 (naver)

728x90
2006년 6월에 처음 올렸던 글입니다만 간간히 올려봅니다. 

----------- 아 래 ------------


여러분 이 기사가 의미하는게 뭘까요?..

기사는 행간을 읽으라는 말이 있지요.. 요컨대 스마트폰.. 한국에서는 덜 떨어진 그림의 떡입니다. 흉내만 내는 거지요. 애시당초 제대로 된 packet function 은 불가능 한 겁니다. 

일례로 미국에서 구글폰, 블랙베리가 일찌감치 보편화 되고, 아이팟이 일본에서 가능했던 것은 그 패킷이 always-on 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 폰개발이 문제가 아니랍니다.... 그 나라에 패킷이 어떤게 있느냐 하는게 중요합니다.

.......................

한국도 Data-Tac(ardis) , Mobi-Tax 를 했어야 합니다. 아니 이미 있었습니다만 무참히 짖밟혀서 꽃을 피우지 못한 것으로 압니다.

한국이라는 개발도상국의 대기업 패권주의식의 CDMA기반의 편향된 독주가 오늘날 이꼴을 만들어 온것입니다.

단 1분의 인터넷이용에 얼마가 요금이 부과되는지 아시지요? 말도 안되는 고액의 요금이 빠져나갑니다.

NTT-Docomo 처럼 당초 packet 기반으로 시작하여 음성서비스를 확대시켜준 것과 CDMA처럼 circuit 기반으로 편향된 망을 가지고 억지로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하려는 것과는 차이가 많습니다.

데이타에 에러와 보안에 문제가 많지요.. 엔지니어들은 변명하려 덤벼들 것입니다만..

더욱 중요한건 요금이 차이가 매우 크다는 거지요.. 지금 패킷요금의 10분의 1.. 심지어 맘만먹으면 20분의 1까지 낮출수가 있을겁니다. 더구나 패킷은 always ON입니다. 데이타 송수신시에만 요금이 부과되고요.. 이것이 선진 퀄러티 패킷기반과의 차이입니다.

한국은 대기업 패권주의와 대기업 논리 지상주의의 나라이므로 이미 CDMA의 광신에 빠져있습니다.. 아니 이미 돌아올수 없는 루비콘강을 건넜습니다.

이미 첫단추를 잘못 꿰어버린 것입니다.

미국 캐나다 같은 선진국이 우리보다 모자란 사람들이라서 CD-PD같은 Radio packet network 을 지금도 유지하고 있답니까? user가 엄존할 뿐더러 infra는 그렇게 쉽게 걷어치우는게 아닙니다. 종사자가 있고 유저가 있는데 대기업 이익집단이 집단이기의 논리로 광풍을 몰아온다고 정책입안자가 소수의 넷웍을 무시하고 싹쓸이 하는 법이 없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선진국이지요..

결론적으로 한국같은 나라에서나 CDMA광풍몰이가 가능했고 지상최고의 선이 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한국소비자는 이제부터 음성보다 더 중요하고 수요가 폭발할 것이 자명한 패킷서비스에 말도안되는 과도한 거액의 요금 (강도같은 데이터 요금) 에 영원히 시달려야 합니다.

한편, 선진각국이 선호하는 RIM社의 패킷모뎀보다 더 좋은것을 개발하여 수출하고 있는 중소기업이 한국에 있는 것으로 압니다. 이런 나라의 국민이 말썽많은 패킷서비스의 노예로 영원히 갈 것을 생각하니 한숨만 나옵니다.

cdma의 수출국이라고 큰소리로 과장을 떠는 이면에는 퀄컴의 노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아이러니가 있습니다. 멕시코근방의 조그만 벤처업체를 공룡으로 키워준 것은 한국이지요.. 왜 한국의 우수한 벤처는 외면하고 말이지요.. 한심~

일본 미국처럼 기술자립국 미래를 내다보고 종속되지 않는 길을 선택하지 못하고 우선 떼돈을 벌 수 있는 길을 택하기 때문에 이렇게 되는것 같습니다. 한국이라는 개발도상국의 기업들이 다급한 선택을 하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정확히 말해서 한국의 대기업에 정치, 공무원, 법조계가 다 끌려다니기 때문이고.. 대기업의 밥벌이 수단으로 이나라의 통신정책도 끌려다니기 때문입니다. 

아닐까요? 

어떻게 생각들 하십니까? 지금의 말도안되는 미친 패킷요금이 어떻게 가능하다고 보십니까?

---------------------------------- 

도코모처럼 패킷기반으로 시작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지금의 패킷은 덜떨어진 억지춘향의 패킷서비스란 말이지요.. 

그나마 기술종속에서 벗어나길 바라며 와이브로와 지상파DMB등에 기대를 걸어봅니다만 서비스품질, 기술의 한계성, 여전히 말도 안되는 칼만 안든 강도같은 요금에 절망스럽습니다. 

한국은 대기업의 마수에 걸려들어 영원히 강도같은 패킷 요금에 시달릴 것입니다.

------

이탈리아 단말기 2대의 비밀 = OECD 국가 가운데 최고 수준인데 단말기를 2개씩 쓰면서도 요금은 적은 이탈리아의 비밀은 무엇일까요.?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214&article_id=0000041587 

이걸 읽어보세요 ~~

728x90